한국 종교의 현실과 展望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04 01:28
본문
Download : 한국 종교의 현실과 전망.hwp
결국 전체적으로 보아 적극적인 종교의례 참여율이 13년간 증가된 것은 전적으로 개신교의 적극적 의례 참여율 증가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따
다. 반대로 “가지 않는다”는 비율은 1984-97년 사이에 0.0%에서 9.2%로 증가했고, “1년에 1-2번 이하”의 소극적 참여 비율도 같은 기간에 22.8%에서 26.9%로 증가했다. 한편 천주교도 같은 기간 동안 적극적 의례 참여율은 66.2%에서 60.4%로 5.8% 감소했다. 그러나 개신교의 경우에는 그 비율이 61.8%에서 71.5%로 9.7%나 증가했던 것이다.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한국 종교의 현실과 전망한국종교의현실과향후 , 한국 종교의 현실과 전망인문사회레포트 ,
한국 종교의 현실과 展望
Download : 한국 종교의 현실과 전망.hwp( 88 )
한국 종교의 현실과 展望
한국종교의현실과향후
순서
<표 20>에 따르면 종교의례에 일주일 한번 이상 참여한다는 적극적인 종교성을 나타내는 비율은 약간씩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즉 그 비율은 1984년에는 38.5%였으나 1989년에 40.6%를 거쳐 1997년에는 41.7%로서 13년간 3.2% 증가되었다. 그러나 종교별로 alteration(변화) 추이를 보면 두드러진 현상이 나타나고 있따 종교의례 참여에 관한 한 불교는 기독교와 그 형식과 내용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자주 의례에 참여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1984년과 1997년을 비교해 보면 “일주일 한번 이상” 종교의례에 참여하는 비율은 10.1%에서 1.2%로 현저하게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