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시조의 由來와 그 정형성의 변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01 17:58
본문
Download :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hwp
하지만 종장은 규제를 받아 1구는 3음절로 고정되면 2구는 5음절 이상이어야 한다. 그 기본형을 도시화 하면
초장 3 · 4 V 4 · 4 /
중장 3 · 4 V 4 · 4 /
종장 3 · 5 V 4 · 3 /
과 같다. 정병욱, 앞의 책, p.179
구수율은 춘원이나 노산이 시조를 12구체로 파악하였고 이병기 선생은 초장과 중장을 각각 2구로 보고 종장의 특이성을 살리기 위해 종장만을 4구로 보아 8구체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 같은 종장의 제약은 시조 형태의 정형과 와울러 평면성을 탈피하는 시적 생동감을 깃들게 한다. 그러나 안자산과 …(To be continued )
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가상적인 기준형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절대 불변하는 고정적인 제약을 받는 것이 아님은 우리 말 자체의 성질에서 오는 신축성에서라 할 것이다.
순서
시조의由來와그정형성의변화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hwp( 31 )
레포트/인문사회
시조의 由來와 그 정형성의 변화
설명
시조의유래와그정형성의변화 ,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인문사회레포트 ,
(2)시조 형태의 특징
시조는 3행으로써 1연을 이루고 있으며, 각 행은 4보격이며, 이 4보격은 다시 두개의 숨묶음으로 나뉘어져 그 중간에 사이 쉼을 넣게 되어 있다아 그리고 각 음보는 3 또는 4개의 음절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음수율은 3·4조 또는 4·4조가 기본 운율로 되어 있다아 그러나 기본 운율에 1음절, 또는 2음절 정도의 가감은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