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28 01:20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무반(무반)에 대한 대우는 크게 향상되어 상장군의 경우 목종대 5과(130결)에서 3과로 올랐고, 대장군의 경우는 6과에서 4과로 올랐으며, 다른 무반도 모두 과가 상승하였다. 경정신시과는 목종대의 개정전시과에 비해 여러가지 상이한 점이 보이는데, 우선 주목되는 점은 분급되는 전시의 규모가 감소했다는 것이다.
순서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고려시대전시처리해야할문제도-1






Download :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82 )
덕종 3년에 개편된 전시과는 그 후 문종(문종) 30년에 이르러 또다시 전면적인 재편성을 보게 되었다. 이는 오랫동안 거란과 전쟁하면서 무관의 지위가 상승하였기 때문이었다.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이를 introduction한 글입니다.
1과에는 중서령(중서령) 상서령(상서령) 문하시중(문하시중)이 속하며 전지 100결 시지 50결을 받았으며, 18과에는 한인(한인) 잡류(잡류)가 속하며 전지 17결을 받고 시지는 지급받지 못하였다.고려시대전시과제도-1 ,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기타레포트 ,
다.
설명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이를 소개한 글입니다. 1과의 경우 목종대 170결(전지 100결 시지 70결)에서 150결로, 2과는 160결에서 135결로, 10과는 85결에서 65결로, 18과는 20결에서 17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산직(산직)과 향직(향직)에 대한 토지지급이 보이지 않는 점도 주목할 사실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