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유가 철학과 신유학의 연관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21 21:59
본문
Download : 선진유가 철학과 신유학의 연관성.hwp
지금 …(省略)
다. 그러면 이 구절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초구(初九)는 장우지(壯于趾)니 정(征)하면 흉(凶)하나 유부(有孚)리라,` 다시 말해서 `처음 아홉은 발뒤꿈치에 씩씩함이니 가면 흉하나 미쁨이 있으리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유부(有孚)`는 `미쁨이 있다,` `믿을 것이 있다,` 정도의 뜻을 가지고 있따 `흉함이 틀림없으리라`는 뜻을 말하고자 했다면 `필흉(必凶)이라`고 하면 자연스러울 것을 왜 하필 `흉(凶)이 유부(有孚)리라`로 했겠는가? 여기에도 정자나 주자의 씩씩함에 대한 두려움, 아기장수에 대한 두려움이 작용한 것이 아닌가 한다. 이것을 정자나 주자는 `초구(初九)는 장우지(壯于趾)니 정(征)하면 흉(凶)이 유부(有孚)리라,` 다시 말해서 `처음 아홉은 발뒤꿈치에 씩씩함이니 가면 흉함이 틀림없으리라`로 해석하고 있따 발뒤꿈치는 맨 아래에 있는데, 거기서는 씩씩하지 말아야 되는데 씩씩하다, 그러니 이대로 가면 흉할 것이 틀림없다, 이런 뜻이다.
선진유가철학과신유학의연관성
순서
선진유가 철학과 신유학의 연관성






역경을 중심으로 선진유가 철학과 신유학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자료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어색한 것은 `유부(有孚)`를 `틀림없이`로 해석한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이런 문제는 대장괘 제일효의 효사 `초구장우지정흉유부(初九壯于趾征凶有孚)`를 해석하는 데서도 나타난다.선진유가철학과신유학의연관성 , 선진유가 철학과 신유학의 연관성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Download : 선진유가 철학과 신유학의 연관성.hwp( 42 )
역경을 중심으로 선진유가 철학과 신유학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자료(資料)입니다.